사실 무리가 되거나 허세가 될 건 아니다. 한국은 확실히 중세의 흑사병 같은 분위기가 엄습한 이 세계에서 빛나고 있고 희망을 이끌고 있다. 그리고 우리 스스로도 아마 코로나 이후에 많은 인식과 분위기, 시스템의 변화가 있을 수 있다. 그러나 동네 친구들에서부터 사회 각 분야 전문가들의 ‘포스트 코로나’ 이야기꽃 속에서 좀 꼭꼭 씹으며 성찰해 볼 우리의 모습들을 잊지 않고 발전했으면 좋겠다.
아카데미를 휩쓸다 그러면 이제 한국 영화 콘텐츠는 발전의 순풍을 타는가
많은 재능있는 영화인들처럼 봉준호 감독은 2000년 <플란다스의 개>로 데뷔하며 한국 영화업계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고, 드디어 아카데미 상까지 휩쓸며 한국 콘텐츠의 브랜딩에 크게 기여한다.
그러나 우리는 그를 블랙리스트에 올리며 낙인을 찍었고, 2017년 <넷플릭스>와의 실험적 작품이며 배급 시도했던 ‘옥자’는 우리의 모든 엔터테인먼트 생활을 책임져주는 대형 멀티플렉스 상영관에서 보이콧 당하며 거기서 볼 수조차 없었다.

대형 기획사들과 국가의 전략적 해외진출 노력들, 그런데 옆에서 <BTS>가 훅 들어갔네
문화 관련 기관들도 전문 업체들도 부단히 노력했다. 그러나 우리도 아이돌에 식상해져 갈 즈음, 미국인들도 ‘공장형’ 아이돌에 익숙해져 갈 즈음, 영어로 노래하지도 않고 칼군무보다 메시지를 이야기하고 세계 젊은이들과 감성으로 자유롭게 얽혀들어가는 신생 기획사 <빅히트>의 아이돌 <BTS>는 해외공략 기술들에 땀을 흘리던 한국의 문화계와는 분명히 다른 방식으로, ‘콘텐츠’ 그 자체로서 세계를 뒤흔든다.
‘K-pop’으로 한류를 붐업시키려 했는데, 생각지도 못한 ‘BTS-pop’이 나타나 한류 붐업을 잡아끌어 올렸다.

세계를 리드할 것 같았던 e스포츠 종주국에서 그냥 PC방이 많은 나라로…
우리는 90년대 후반에 PC게임을 엔터테인먼트와 결합한 ‘e스포츠’를 탄생시키며 스스로 종주국에 ‘등극’했고, 그 시장은 2018년 38% 성장세를 기록하기도 하며, 2021년에는 약 21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(시장자료 : Newzoo). 그러나 코로나가 세계를 뒤덮은 지금, 게임업계의 위너(Winner)는 ‘모여라 동물의 숲’이라는 강력한 IP(지적재산권)을 가진 <닌텐도>이다(코로나 3월 대비 주가 46% 급등).
우리가 게임을 사회적인 문제 인프라로 좌표를 찍고 질병등록을 고려하는 동안, 와이파이 잡기 어렵다는 미국이 <블리저드> 등의 미국 게임업체들의 IP를 무기로 새로운 e스포츠 신흥종주국으로 부상하고 있다.
SNS 시대를 이끌고, 새로운 컴퓨팅 태블릿 시대를 이끌고
우리는 이끌고 그리고 쑥 빠졌다. ^^;
‘싸이월드’는 거대한 SNS 시대를 열어젖혔던 ‘Facebook’을 이끌어 줬고, <LG전자>가 OEM방식으로 개발했던 태블릿의 원조 ‘TC-1100’은 스티브 잡스가 ‘혁신’으로서 세상에 선을 보인 ‘아이패드’를 이끌었다.
우리가 ‘포스트 코로나’를 이렇게 여유 있고 선제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다는 요즘의 상황이 참 대견하다. 많은 전문가는 심지어 코로나 이후에 한국이 세계질서의 큰 변화를 이끌 수 있다는 전망과 다양한 지적을 쏟아내고 있기도 하다.
요즘 모든 미디어의 근거지, 대세 <유튜브>에서 포스트 코로나 이야기꽃이 활짝 피었는데, 우리가 어떤 기회들을 놓쳐 왔었는지, 어떤 상황들을 실수해 왔었는지도 이렇게 잘 나가고 있을 때 정말 좀 생각해보는 이야기꽃들도 피어나기 시작했으면 좋겠다.
단순한 특정 기술의 등장이나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등 눈에 보이는 이야기들 말고, 보다 세상이 변화하는 흐름에 대한 것,
어쨌든 많은 대한민국 국민들이 힘든 시기이다.
모두 함께 힘내자.
송두혁 | Joachim Song
LOG EDITOR / INSIGHT•LOG 총괄PD / 콘텐츠 프로듀서 / 플랫폼 전문가
댓글